항상##
인체 도형화에 대해서 인체는 곡선이다. 두번째 본문
인체 도형
대부분 사람 신체를 도형화라고 하면서 위 처럼 윗면 아랫면을 보여주는데. 이는 단호하게 틀린방법이라고 말하고싶다. 더보기 정육면체로 저렇게 뒤틀고 윗면 아랫면 그릴 시간에 그냥 바로
dno0.tistory.com
설명이 부족하다 생각해서
조금더 내용을 만들어옴,.
위링크는 사각형을 쓰고 이해하는 방법이라면
이번에는 사각형이 왜 접합하지 않은지 적는 내용임.
인체 도형화 하면 이런식으로 박스형태를 당연한거 마냥 그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어떻게 효율적으로 가르킬지를 고민한 입장에서
저들은 진짜
너무 초보적이다못해
강의를 해야되는 기본적인 단계의 검증도 안맞친 자료들임.
아마도
소묘를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잘그리는 자기들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그걸 자기들 입장에서 단순하게 그린다 라고
강의목적이 아닌 설명목적으로 생각하니 저렇게 뿐이 안된다 생각함.
작가일지는 몰라도 강사는 절대로 아닌자료들임.
만약 저 인체 도형화 앞부분에
내가 지금부터 할 말이 있다면 좋은강의라 생각함
위 링크글로도 말했지만
사람의 신체는 사각형이 아니라
타원, 구에 더가깝기 워서
사각형으로 그리면 비워지는 부분을 2차적으로
손봐야 하고
비는 공간에 팔을 배치하게되면 인체 비례가 자연스럽게 무너지게됨.
굉장히 안좋은 방법인거임.
빨간색 선이 실제 신체가 자리잡는 방향임.저 손실이
천제기준으로는 상체의 1%일지 몰라도
손, 팔, 다리, 얼굴, 목, 모든부분에서 일어나니
다합쳐버리면 최소 10%~20% 정도의 손실=수정을
해야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하나더 생긴다라는거임.
이걸 작가들은 인식못한 상태에서 도형화하면 그리기 쉽다
라고 말하니 일반인 입장에서는
어렵다고 느끼게되는 상황이라 판단했습니다.
좀더 직관적이게 보여주자면 이렇게됨.
허리의 굴곡이야 이해한다 쳐도
다른 신체와 이어지는 부분에서의 오차율이 어마어마하게
뒤틀린다라는거.
지금 작가들이 나누는 인체 도형화는
잘못되어있다.
나중에는 이 인체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 한번 찾아보도록하겠습니다.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묘 육면체, 구, 원뿔 왜 배우는걸까? (0) | 2022.03.04 |
---|---|
초보자용 입문 그림 강의 __ 팔, 다리 관절 쉽게 이해하기 (0) | 2022.02.15 |
인체 도형 (0) | 2022.01.29 |
부분강의__턱 / 그림자와 빛이 안닿는 부위 (0) | 2021.10.16 |
간단 강의 - 다리 비율의 착시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