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그림 (14)
항상##

https://dno0.tistory.com/86 인체 도형 대부분 사람 신체를 도형화라고 하면서 위 처럼 윗면 아랫면을 보여주는데. 이는 단호하게 틀린방법이라고 말하고싶다. 더보기 정육면체로 저렇게 뒤틀고 윗면 아랫면 그릴 시간에 그냥 바로 dno0.tistory.com 설명이 부족하다 생각해서 조금더 내용을 만들어옴,. 위링크는 사각형을 쓰고 이해하는 방법이라면 이번에는 사각형이 왜 접합하지 않은지 적는 내용임. 인체 도형화 하면 이런식으로 박스형태를 당연한거 마냥 그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어떻게 효율적으로 가르킬지를 고민한 입장에서 저들은 진짜 너무 초보적이다못해 강의를 해야되는 기본적인 단계의 검증도 안맞친 자료들임. 아마도 소묘를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잘그리는 자기들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그걸 ..

오늘 갑자기 생각난 이론임. 한 50% 정도 맞을거라 예상함. 님들 소묘 왜배움? 이거 쉽사리 어떤걸 배울수 있다라고 바로 말할수 있는 사람 많이없을거임. 미술학원가면 보고 그려라고 배우기때문에. 그리고 만약 처음 배우는 초짜라면 사각형-구-원뿔 이순으로 배우는게 맞음. 지금부터 어떤 특징을 캐치해야되는지 적어볼꺼임. 미리 말하자면 육면체-원뿔 육면체-구 이렇게 같다고 판단함. 가장 처음 소묘를 배운다면 배워야 하는 기본임 그냥 그림자의 특징을 배우는건데 직각이니 이해하기가 쉬워서 육면체를 사용하는거임 어떤 초보가 그려도 왜곡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니깐. 그와동시에 우리는 무언가 그릴때 가장 기본으로 삼는 도형이기도 함. 하지만 사람신체는 육면체로 그리면 안된다 라고 아래링크로 말했음. 그냥 형체를 대충잡..

관절이라고 하면 우리는 팔다리 정도로만 생각하는데. 사실은 사람이 굽힐수 있는 모든부위가 해당 사항이다. 손가락 허리까지도 포함된다. 사람의 뼈대를 스케치 하라고하면 대부분 우리가 배운방식이나 관절이라는 인식상 이렇게 관절 부분을 굳이 표시하려고 할꺼다. 이는 조금 실수가 생길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굳이 관절을 표시하지않더라도. 어디가 관절인지 알수 있다. 아래 그림을봐라 관절이 어디있는지 모르겠나? 가장 중요한건 저 동그라미 때문에 팔의 비율 맞추기가 어려워 진다. 초보자용 간단 비율은 팔의 1관절과 2관절은 1대1이다. 관절은 겹친다. 간단히 말하면 롤케이크의 생크림같다. 롤케이크를 말수록 생크림이 점점 밀려나면서 저런 모양이 나오게된다. 관절은 접힌다라는 표현보다 말린다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

대부분 사람 신체를 도형화라고 하면서 위 처럼 윗면 아랫면을 보여주는데. 이는 단호하게 틀린방법이라고 말하고싶다. 더보기 정육면체로 저렇게 뒤틀고 윗면 아랫면 그릴 시간에 그냥 바로 근육을 그려버리는게 더 빠르고 더 편하다. 그이유는 사람의 신체는 곡선으로 이루어져있기에 사각형=정육면체로 도형화를 하면 어딘가 맞지않는 구조가 되어버린다. 그렇다고 초보자들기준으로 사각형을 맞는구조로 바꾸란것은 굉장히 어렵다고 판단한다. 초보자들에게는 이해하기도 어렵고 구조를 가늠하기어렵다. 인체 도형화는 건담이란 느낌으로 이해해주면 좋은데 이것도 솔직히 햇깔린다. 그냥 사각형의 도형으로 빠르게 인체 구조를 파악하는 것. 간단히 말하면 극한의 관찰력으로 인체의 뼈대를 찾아서 오차없이 그리는거다. 해당그림은 옆에 이미지를 두..

빛이 가지않으면 어둡게보인다. 라는 단순한 공식을 우리는 그림자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른개념이다. 손으로 태양빛을 가리면 태양빛을 등지는부분은 어두워진다. 이건 빛이 닿지않으니깐 어두워지는거지. 그림자가 생기는거와 똑같은 개념이라고 생각 하면안된다. 가장 많이 착각하는 부위가 턱이다. 사진이나 그림을보면 대부분 시선이 정면을 향하기 때문에 보기 힘들다. 하지만 역동적이거나 위압감을 보여줄때 쓰는 동작인데 위에 말한 오류가 쉽게 보인다. 왜 그림자라고 느낄수 밖에없냐면 촬영하는 공간 대부분은 빛으로 채워버리니깐 그림자라고 착각하거나 빛이 닿지않아 어두워야할 턱이 빛으로 가득 채워서 보이지않는 상황이 많다. 아래서 위를 찍는 구도를 보면 필연적으로 턱의 아랫부분이 나오게된다. 하지만 이를 착각하기에 얼굴형..

위에 보면 녹색 깔 다리길이는 똑같다. 완벽한 개념의 사진이 아니라 약간의 오차가 있긴하지만 (왼쪽다리를 쓴잉유는 발을보면 왼쪽은 덜떠있고 오른쪽은 거의떠있어서 비율이 더 틀어짐) 허벅지를 길게 그리는 이유는 허벅지부분의 볼때 안쪽에서 보는게아니라. 바깥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