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소묘 육면체, 구, 원뿔 왜 배우는걸까? 본문

그림

소묘 육면체, 구, 원뿔 왜 배우는걸까?

bn-1 2022. 3. 4. 20:20

오늘 갑자기 생각난 이론임.

한 50% 정도 맞을거라 예상함.

 

 

님들 소묘 왜배움?


이거 쉽사리 어떤걸 배울수 있다라고 바로 말할수 있는 사람

많이없을거임.

 

미술학원가면

보고 그려라고 배우기때문에.

 

 

그리고 만약 처음 배우는 초짜라면

사각형-구-원뿔

이순으로 배우는게 맞음.

 

 

지금부터 어떤 특징을 캐치해야되는지 적어볼꺼임.

 

 

미리 말하자면

육면체-원뿔

육면체-구

 

이렇게 같다고 판단함.


가장 처음 소묘를 배운다면

배워야 하는

기본임

 

그냥 그림자의 특징을 배우는건데

직각이니 이해하기가 쉬워서 육면체를 사용하는거임

어떤 초보가 그려도 왜곡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니깐.

 

 

 

그와동시에

우리는 무언가 그릴때 가장 기본으로 삼는 도형이기도 함.

하지만

사람신체는 육면체로 그리면 안된다 라고

아래링크로 말했음.

그냥 형체를 대충잡는 사각형으로 쓰이는거임

 

 

https://dno0.tistory.com/86?category=976336


그다음이 원

구인데.

 

이건 사람을 그리려고하면

필수적으로 마스터해야되는 심화임.

 

사람 신체는 모든부분이 곡선이라서 구같은 형체를

그리면서 어떤 곡선을 가지는지를 보는거임.

 

만약 사람손을 직선으로만 그리면 어떨게되냐?

 

단순히 가르키는 측면의 손가락인데도 불구하고

저렇게 측면이 보임

그런데 저걸 육면체로 표현해버리면

어디서 빛을 조절해야되는지 갈피를 잡을수가 없게됨.

 

 

그래서 모든면이 곡선인 구를 두번째 단계에서 그리는거임.


원뿔이랑

원은 종류가 다르다고 위에서 말했듯이

원뿔은 그럼 어떤걸 위해서 그리는걸까?

 

구는 한구역이 어두워지는데

원뿔은

특정부분 한부분만 어두워짐.

 

이건 빛을 반사하는 재질의 특징을 알기위해서

배우는 소묘인거임.

 

 

빛이 어떤식으로 모이는지 잘관찰하면됨.

 

 


그밖에 이런 조합들이 판매되는데.

 

이건 조합되었을때.

어떤 영향을끼치는기 관찰하기 위한 도형인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