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9)
항상##

https://dno0.tistory.com/86 인체 도형 대부분 사람 신체를 도형화라고 하면서 위 처럼 윗면 아랫면을 보여주는데. 이는 단호하게 틀린방법이라고 말하고싶다. 더보기 정육면체로 저렇게 뒤틀고 윗면 아랫면 그릴 시간에 그냥 바로 dno0.tistory.com 설명이 부족하다 생각해서 조금더 내용을 만들어옴,. 위링크는 사각형을 쓰고 이해하는 방법이라면 이번에는 사각형이 왜 접합하지 않은지 적는 내용임. 인체 도형화 하면 이런식으로 박스형태를 당연한거 마냥 그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어떻게 효율적으로 가르킬지를 고민한 입장에서 저들은 진짜 너무 초보적이다못해 강의를 해야되는 기본적인 단계의 검증도 안맞친 자료들임. 아마도 소묘를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잘그리는 자기들 기준으로 생각했을꺼고 그걸 ..

https://youtu.be/Dx7-f19z4XQ 이딴 똥망겜 1분이상쓴다는건 사치다. 그이유. 적어도 모바일로 나오려면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생각함. 1. 여전히 중국에서 돈잘벌고있던가. 2. PC 스토리 결말을 냈다던가. 그런데 이거 다 포함하지가않음. 걍 유저들 호구로 보고 호구잡으려는거라판단함

오늘 갑자기 생각난 이론임. 한 50% 정도 맞을거라 예상함. 님들 소묘 왜배움? 이거 쉽사리 어떤걸 배울수 있다라고 바로 말할수 있는 사람 많이없을거임. 미술학원가면 보고 그려라고 배우기때문에. 그리고 만약 처음 배우는 초짜라면 사각형-구-원뿔 이순으로 배우는게 맞음. 지금부터 어떤 특징을 캐치해야되는지 적어볼꺼임. 미리 말하자면 육면체-원뿔 육면체-구 이렇게 같다고 판단함. 가장 처음 소묘를 배운다면 배워야 하는 기본임 그냥 그림자의 특징을 배우는건데 직각이니 이해하기가 쉬워서 육면체를 사용하는거임 어떤 초보가 그려도 왜곡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니깐. 그와동시에 우리는 무언가 그릴때 가장 기본으로 삼는 도형이기도 함. 하지만 사람신체는 육면체로 그리면 안된다 라고 아래링크로 말했음. 그냥 형체를 대충잡..

https://youtu.be/Coi8r4zks5I 이영상은 설득하고 공감을 얻기위한 영상이 아닙니다. 내 생각을 말하고 님들의 의견 생각을 듣기위한 영상에 가깝습니다. 오래된 외국노래와 최신곡을 비교는 너무한거 아니냐? 외국곡은 우리들이가장 잘알거같은 곡으로 선정했고. 한국곡은 유튜브기준 순위권 최신음악으로 기준으로했습니다. 최신음악이 아니고서는 요즘 유행이 아닐수도 있어서 해당곡들을 선정하게되었습니다. 이 영상을 만들기전 저는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fgmfn8yuDmtzppIze64Wg1EKz2HIUG1 알려지지 않는 노래들을 수십번 들어보면서 추천하는 컨텐츠를 하고있었습니다. 예술 계열이 그렇습니다. 조금 유명해지면 쉬운길들이 너무 많이 보입니다...

https://youtu.be/4YQgcTKNrtQ https://blog.naver.com/dbsgksdjq0/222491687166 작화가 이정돈아니라도 유지되야 되는게 맞고. https://blog.naver.com/dbsgksdjq0/222557412013 짱 표절 작가 네이버 웹툰 재대뷔 https://blog.naver.com/dbsgksdjq0/222645459679 몇년 연재 해도 인체비례가 화마다 달라지는 신의탑. https://blog.naver.com/dbsgksdjq0/222590304333 강제 구매를 강요하는 뜬금 연제중단 노블레스, 헬퍼2, 덴마 작가 기량부족으로 뜬금앤딩. 카카오페이지 강철의 연금술사 연재 조만간 설명한다면서 (21년11월쯤) 22년 2월까지 아무런 말없이 연..

관절이라고 하면 우리는 팔다리 정도로만 생각하는데. 사실은 사람이 굽힐수 있는 모든부위가 해당 사항이다. 손가락 허리까지도 포함된다. 사람의 뼈대를 스케치 하라고하면 대부분 우리가 배운방식이나 관절이라는 인식상 이렇게 관절 부분을 굳이 표시하려고 할꺼다. 이는 조금 실수가 생길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굳이 관절을 표시하지않더라도. 어디가 관절인지 알수 있다. 아래 그림을봐라 관절이 어디있는지 모르겠나? 가장 중요한건 저 동그라미 때문에 팔의 비율 맞추기가 어려워 진다. 초보자용 간단 비율은 팔의 1관절과 2관절은 1대1이다. 관절은 겹친다. 간단히 말하면 롤케이크의 생크림같다. 롤케이크를 말수록 생크림이 점점 밀려나면서 저런 모양이 나오게된다. 관절은 접힌다라는 표현보다 말린다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